Skip to menu

Notices

Views 58 Comment 0

로봇에 인공지능(AI)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. 많은 공학자들이 행동형 AI를 주제로 연구를 이어오는 상황 속에서 데니스 홍 교수는 "AI가 무조건 능사는 아니다"라고 역설했다.

 

데니스 홍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(UCLA)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23일 대구 엑스포에서 열린 '2024 미래혁신기술박람회(FIX 2024)'의

부대 행사로 개최된 '로봇비즈니스포럼'에서 이같이 밝혔다.

 

홍 교수는 강연에서 "AI 로봇에 대한 정의부터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"고 말했다. 이전까지 '감각-계획-행동' 3단계로 규정됐던 로봇의 개념이

AI를 만나면서 '인식-학습-조작'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.

 

데니스 홍 교수가 23일 '대구 글로벌 로봇비즈니스포럼'에서 AI 로봇의 새로운 정의를 설명하고 있다. (사진=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)

그는 "로봇의 학습은 기존 생성형 AI가 배우는 방식과는 다르다"고 덧붙였다. 챗GPT는 수많은 텍스트를, 달리(DALL-E)는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했지만, 로봇은 실제 세계에서의 물리값을 다뤄야 하는 과제를 직면했다. 가령 속도와 가속도, 압력과 마찰 등 수많은 데이터가 필요한데, 이를 온라인 상에서 얻기 어렵다는 것이다.

© k2s0o2d0e0s1i0g1n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