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건너뛰기

Notices

조회 수 57 댓글 0

오픈AI가 '챗GPT'에 인공지능(AI) 검색 기능을 정식 출시했다. 이로써 구글이나 퍼플렉시티와의 본격적인 AI 검색 경쟁이 펼쳐지게 됐다.

오픈AI는 31일(현지시간) 챗GPT 유료 사용자인 플러스 및 팀즈 사용자를 대상으로 검색 기능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.

엔터프라이즈와 에듀 사용자는 몇주 안으로, 그리고 몇달 안으로 모든 무료 사용자에게 개방할 예정이다.

검색 기능은 챗GPT 페이지와 데스크톱 및 모바일 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

챗GPT는 질문에 따라 자동으로 웹을 검색하지만, 프롬프트 입력 창의 웹 검색 아이콘을 클릭해 수동으로도 검색을 선택할 수 있다.

오픈AI는 "웹에서 유용한 답변을 얻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. 종종 여러번 검색하고 링크를 파헤쳐 양질의 출처와 귀하에게 적합한 정보를 찾아야 한다"라고 지적했다.

그러나 "이제 채팅으로 더 나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. 더 자연스럽고 대화 방식으로 질문하면 챗GPT가 웹에서 얻은 정보로 응답할 수 있다.

후속 질문으로 더 깊이 파고들면 채팅의 전체 맥락을 고려해 더 나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"라고 설명했다.

챗GPT 검색은 실시간 웹 검색과 뉴스 및 데이터 제공자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최신 스포츠 점수, 주식 시세, 뉴스, 날씨 등의 최신 정보와 시각적 디자인을 제공한다.

또 뉴스 기사 및 블로그 게시물과 같은 소스에 대한 링크가 포함된다.
(사진=오픈AI)

(사진=오픈AI)
이번 서비스를 위해 오픈AI는 AP, 악셀 스프링거, 콘데 나스트, 파이낸셜 타임스, 허스트, 르 몽드, 뉴스 코프, 로이터, 타임, 복스 미디어 등 글로벌 주요 미디어와 13번의 파트너십을 맺었다.

또 7월부터는 한정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치GPT라는 검색 엔진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.

오픈AI는 검색 모델이 'GPT-4o'의 미세조정 버전으로, 'o1-프리뷰'의 출력을 증류하는 것을 포함해 새로운 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을 사용해 사후 학습했다고 밝혔다. 또 MS '빙'과 같은 타사 검색 공급자와 파트너가 직접 제공하는 콘텐츠를 활용한다고 덧붙였다.

이번 검색 출시가 지배적인 검색 엔진 구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이다. 또 이 분야에는 퍼플렉시티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.

이밖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7월 보고서를 통해 오픈AI가 검색 분야의 경쟁자로 묘사하기도 했다. 메타 역시 로이터와 계약을 맺고 자체 AI 검색 서비스를 추가할 예정이다.

출처 : AI타임스(https://www.aitimes.com)

© k2s0o2d0e0s1i0g1n. ALL RIGHTS RESERVED.